IT 용어 알아보기
PoC (Proof of Concept : 기술 검증, 개념 증명)
단순 개념 증명으로도 해석하기도 하지만 IT 업계에서 PoC는 신기술이 적용된 신제품을 직접 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시장에 소개하는 사전 검증의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이미 시장에 나오지 않은 차기 프로세서 로드맵을 구매하기로 한 국내 모 대형 시중은행의 경우 계약 전 업체들을 불러 차기 제품의 성능과 기능을 미리 제시하도록 한뒤 장비를 정하는 PoC 과정을 거쳤습니다.
보통 시스템 구매 시 기존 제품의 경우 성능테스트를 뜻하는 BMT를 아직 양산되지 않은 신제품을 채책할 경우 PoC의 단계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 일부 업체들은 자사 신제품을 전시하고 시스템을 구현시키는 테스트실을 PoC로도 부르고 있습니다.
Pilot
이미 검증된 기술을 가지고, 대규모 프로젝트 진행에 앞서 소규모로 진행해보는 시험 프로젝트를 말함.
즉, 프로그램을 실제로 운용하기 전에 오류 또는 부족함 점을 찾기 위하여, 실제 상황과 유사한 조건에서 시험 가동하는 행위
본사업(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수행안 검증 프로젝트로 가령 기술셋을 확정했으면 그 기술셋으로 실제 업무에 적용해보고 문제점이나 개선안을 마련해서 본 프로젝트에 피드백 주는 것.
(계획, 기술문제, 관리요소, 위험요소, 비용 이런 것을 피드백하는 용도, 당초 기대한 효과에 비해 결과가 너무 미미하거나 비용이 많이 들면 취소)
BMT(Bench Marking Test)
일반적인 성능시험과는 달리 실제와 같은 동일한 시험황경에서 여러 개의 제품의 성능에 대한 비교시험을 반복해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
제품의 품질 정보가 없을 때 BMT를 통해 존재하는 제품들과 상호 비교해 제품의 품질을 상대적으로 평가
비교 대상 시스템을 표준적인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수행시켜 성능을 측정,
컴퓨터의 속도나 단위 시간당 일 처리량 등 수행속도를 비교하는 검사.
예를 들면 OO발주처에서 테라바이트 라우터를 도입한다고 할때, 입찰에 응한 업체들의 제품에 대해서 성능비교를 하는 겁니다.
필요에 의해 이것 저것 골라다가 테스트해보고 비교하는 것. 장비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솔루션)도 포함됩니다.
(대부분은 수평적으로 기술셋 비교에 대한 내용이 많지만 업무적 특성을 포괄하는 솔루션인가? 이런한 요건이면 업무도 물론 수반)